google-site-verification=hsU8MuoTH0dCqdqHHMQE2Baks527ZFxGSWBeJzbFBLA '한국사능력검정' 태그의 글 목록

한국사능력검정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7.현대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1) 8.15광복(1945)과 좌, 우 대립의 발생 1. 광복 이전 상황 광복 직전의 건국 준비 활동: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ㄷㄷ표하며 독립 국가 수립을 준비, 국내에서는 여운형이 좌우 세력을 연합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 국제 사회의 한반도 문제 논의: 카이로 회담,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등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약속 2. 광복 이후 상황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조직: 중도 우파(안재홍)과 중도 좌파(여운형)이 연합하여 조직, 치안대를 조직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실시: 4개국이 한국을 최고 5년 동안 신탁 통치 실시, 미소 공동위원회 설치 결정 2) 좌, 우 대립의 심화와 단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정읍발언(1946.6): 이승만이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6.일제 강점기(2)

    1. 대중 투쟁과 민족 유일당 운동 1) 1920년대의 대중 투쟁 1. 6.10 만세 운동(1926) 순종의 서거를 게기로 일제에 대한 반발 분위기 조성됨 학생 중심으로 순종의 인산일에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의의: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연대하는 계기가 되어 민족 협동 전선인 신간회 창립(1927)에 기여 2.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여 한, 일 학생 간 충돌 발생이 계기 이후 광주에서 학생 시위 전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 파견, 민중 대회 개최를 계획 의의: 3.1 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 운동 2) 민족 유일당 운동 민족주의 계열의 분열과 일제의 사회주의 탄압이 계기, 안창호의 호소로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6.일제 강점기(1)

    1. 무단 통치와 토지 조사 사업 1) 무단 통치 (1910년대) 조선 총독부: 일제 식민 통치의 중추 기관, 일본 군인 중에서 총독이 임명되었으며, 식민 통치의 전권을 행사함. 무단 통치 내용 헌병 경찰 통치: 헌병이 일반 경찰 업무는 물론 거의 모든 행정 분야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함, 즉결 처분권을 행사해 독립운동가를 색출하고 처벌, 처단함 조선 태형령: 조선인에게만 재판 없이 태형을 가할 수 있는 조선 태형령 제정 공포 분위기 조성: 일반 관리는 물론 교사도 제복을 입고 칼을 차고 수업을 진행함 교육규제: 제1차 조선 교육령(1911)-조선인의 교육을 보통, 실업, 전문 교육으로만 한정, 보통학교 수업 연한을 6년인 일본에 비해 짧은 4년으로 함. 서당규제(1918)-개량 서당 설립을 억제, 민족..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5.근대(2)

    1.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1) 독립 협회(1896~1898) 아관 파천 이후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 서재필이 귀국 후 독립 신문 창간 1. 창립: 서재필, 윤치호 등 신지식인을 중심으로 근대 자주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독립 협회 창립됨 2. 활동: 강연회와 토론회 개최, 기관지 간행, 대중 집회 개최 자주 국권 운동: 만민 공동회 개최, 고종의 환궁 요청,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규 저지 자유 민권 운동: 국민 기본권 보장 주장, 참정권 운동 전개 의회 설립 운동: 보수파 파면, 진보적 내각 수립, 관민 공동회 개최: 헌의 6조 결의, 중추원 관제 반포 3. 해산: 보수 세력의 모함과 황제의 측근 세력인 황국 협회를 동원해 만민 공동회를 강제 해산, 이후 독립협회 해산 2) 대한 제국(1897~..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5.근대(1)

    1.흥선 대원군의 개혁과 외세의 침입 1)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1. 흥선 대원군 집권 이전의 국내외 정세 국내: 세도 정치의 패단이 지속되고 서양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됨 국외: 청과 일본의 문호 개방 2. 흥선 대원군 집권: 고종이 12세에 왕위에 오르자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 대원군이 섭정함. 3. 왕권 강화 정책 세도 가문 축출: 안동 김씨 일족을 몰아냄 비변사 폐지: 비변사를 축소, 폐지하고 의정부(정치)와 삼군부(군사)의 기능을 부활시킴 법전 정비: 통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대전회통, 육전조례 편찬 경복군 중건 사업: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경복궁을 중건하여 왕실의 권위를 회복시킴 폐단: 원납전 징수, 당백전의 남발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4. 민생 안정 정책: 세도 정치로 황폐해진 민생을 안정..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4.조선 시대(3)

    1. 관리 등용 제도 및 교육 기관 1) 관리 등용 제도 1. 과거 제도 양인 이상이면 누구나 응시 가능 그러나 문과의 경우 수공업자, 상인, 무당, 노비, 재가녀의 자손, 서얼, 탐관오리의 아들은 응시 불가 과거의 종류 문과: 문과는 소과와 대과로 나뉨 소과: 초시> 복시 순, 합격자는 백패를 지급받음, 합격자는 성균관 입학 및 대과 응시 가능 대과: 초시>복시>전시(왕이 주관), 합격자는 홍패를 지급받음, 장원에게 참상관 제수 무과: 무예는 물론 경서와 병서 등도 시험, 서얼 등 중간 계층 응시 잡과: 중인들이 주로 응시, 역과, 율과, 의과, 음양과로 구성된 기술관을 선발함 2. 기타 임용법 음서: 2품 이상의 고관 자제는 음서를 통해 시험 없이 관직에 등용 가능, 그러나 문과에 합격하지 않으면 고..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4.조선 시대(2)

    1. 탕평 정치와 개혁 정책의 추진 1) 영조의 탕평 정치 1. 영조 이전 정국 노론과 소론의 대립 격화: 경종 즉위 후 세제 책봉, 대리 청정 문제로 대립 격화 신임사화: 연잉군의 세제 책봉 문제와 대리청정 문제로 대립, 소론이 노론 제거 2. 초기 영조 탕평책 탕평 교서 발표: 영조 즉위후 탕평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 이인좌의 난: 이인좌를 중심으로 정계에서 축출된 소론과 남인 일부 세력이 반란, 이후 영조는 붕당을 타파하고 노론과 소론 인재를 고루 등용하겠다 선언 3. 완론 탕평(완만한 탕평) 탕평파 등용: 온건하고 타협적인 탕평파 등용, 왕권 뒷받침 산림 부정: 공론의 주재자로 인식된 산림을 부정, 서원을 대폭 정리함 이조 전랑 권한 축소 탕평비 건립 4. 영조 탕평의 한계: 붕당의 치열한 다툼..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4.조선 시대(1)

    1. 조선의 건국과 중앙 집권 체제의 확립 1) 조선의 건국과 기틀 마련 1. 조선 건국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통해 최영 제거, 정권 장악 과전법 실시: 혁명파 사대부 주도 하에 과전법 시행, 신진 사대부 경제적 기반 마련 조선 건국: 온건파 사대부(정몽주 등) 제거, 조선 건국 2. 태조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 통치 체제 정비 정도전 등용: 재상 중심의 정치 주장, 불씨잡변 저술 제1차 왕자의 난: 이성계의 막내아들 이방석이 세자로 책봉 되자 불만을 품은 이방원이 이방석 제거, 정도전과 남은 등 개국공신 제거 3. 태종 왕권 강화: 6조 직계제 실시(의정부 약화), 사병 폐지, 사간원 독립(대신과 외척 견제) 경제 기반 확보: 호패법 실시(호패 발급), 양전 사업 실시(토지조사, 세금 징수량 늘림)..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3.고려 시대(2)

    1. 고려의 경제 1) 토지 제도의 변천 1. 전시과 제도의 성립과 발전 전시과: 관리를 18등급으로 나눠 전지와 사지 차등 지급, 전지는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 사지는 땔감을 거두는 임야. 전시과 제도의 특징: 토지 소유권이 아닌 수조권만 지급, 퇴직 or사망 시에 반납함. 전시과 제도의 정비 과정 태조: 역분전, 후삼국 통일의 공신에게 지급됨 경종: 시정 전시과, 전 현직 관리의 인품을 반영하여 관등에 따라 차등 지급, 본격적인 전시과 제도의 시작. 목종: 개정 전시과, 인품 배제하고 관직 고려, 문관 우대 문종: 경정 전시과, 현직에게만 지급, 무관에 대한 차별 대우 완화 2. 전시과 제도 붕괴: 무신 정권 이후 분배 가능 토지 감소, 전시과 제도 붕괴 3. 녹과전 지급: 대몽 항쟁기인 고종,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3.고려 시대(1)

    1.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기틀 마련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과정 고려 건국: 궁예가 축출된 후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한 태조 왕건은 고구려 계승을 내세워 국호를 고려로 정함, 철원에서 송악으로 천도함 통일 과정 고창 전투 승리>고려군이 고창(안동) 전투에서 후백제군에게 승리함. 신라 항복: 신라 경순왕의 항복을 받아 평화적으로 신라 통합 후백제 멸망, 후삼국 통일: 고려군이 일리천 전투에서 신검이 이끄는 후백제군 격퇴, 후백제 멸망 후 후삼국 통일 2) 국가의 기틀 마련(태조 왕건~헌종) 1. 태조 왕건 민족 재통일: 발해 멸망 후 발해 왕자 대광현을 비롯한 발해 유민 포용 민생 안정: 취민유도 원칙, 흑창이라는 빈민 구제 기구 설치 호족 통합, 견제 정책 통합: 왕씨 성 하사, 유력 호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