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6.일제 강점기(2)
1. 대중 투쟁과 민족 유일당 운동 1) 1920년대의 대중 투쟁 1. 6.10 만세 운동(1926) 순종의 서거를 게기로 일제에 대한 반발 분위기 조성됨 학생 중심으로 순종의 인산일에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의의: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연대하는 계기가 되어 민족 협동 전선인 신간회 창립(1927)에 기여 2.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여 한, 일 학생 간 충돌 발생이 계기 이후 광주에서 학생 시위 전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 파견, 민중 대회 개최를 계획 의의: 3.1 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 운동 2) 민족 유일당 운동 민족주의 계열의 분열과 일제의 사회주의 탄압이 계기, 안창호의 호소로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6.일제 강점기(1)
1. 무단 통치와 토지 조사 사업 1) 무단 통치 (1910년대) 조선 총독부: 일제 식민 통치의 중추 기관, 일본 군인 중에서 총독이 임명되었으며, 식민 통치의 전권을 행사함. 무단 통치 내용 헌병 경찰 통치: 헌병이 일반 경찰 업무는 물론 거의 모든 행정 분야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함, 즉결 처분권을 행사해 독립운동가를 색출하고 처벌, 처단함 조선 태형령: 조선인에게만 재판 없이 태형을 가할 수 있는 조선 태형령 제정 공포 분위기 조성: 일반 관리는 물론 교사도 제복을 입고 칼을 차고 수업을 진행함 교육규제: 제1차 조선 교육령(1911)-조선인의 교육을 보통, 실업, 전문 교육으로만 한정, 보통학교 수업 연한을 6년인 일본에 비해 짧은 4년으로 함. 서당규제(1918)-개량 서당 설립을 억제,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