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중 투쟁과 민족 유일당 운동
1) 1920년대의 대중 투쟁
1. 6.10 만세 운동(1926)
순종의 서거를 게기로 일제에 대한 반발 분위기 조성됨
학생 중심으로 순종의 인산일에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의의: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연대하는 계기가 되어 민족 협동 전선인 신간회 창립(1927)에 기여
2.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여 한, 일 학생 간 충돌 발생이 계기
이후 광주에서 학생 시위 전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 파견, 민중 대회 개최를 계획
의의: 3.1 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 운동
2) 민족 유일당 운동
민족주의 계열의 분열과 일제의 사회주의 탄압이 계기, 안창호의 호소로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동 단체들이 단결해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가 창립되었다.
1. 신간회
6.10 만세 운동 이후 민족주의, 사회주의 계열의 연대 가능성 발견, 이후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와 일부 사회주의자가 조선 민흥회 조직
정우회 선언
신간회 창립: 비타협적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가 결합해 신간회 결성(1927)
신간회의 활동과 해소
대중 운동과 사회 운동 전개: 원산 노동자 총파업 지원
학생 운동 지원: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 조사단 파견, 민중 대회를 준비
2. 근위회
신간회 창립 계기로 여성 운동 통합 단체 성립, 신간회의 자매 단체
2. 민족 말살 통치와 총동원 체제
1) 민족 말살 통치
일제는 경제 공황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만주사변(1931), 중일 전쟁(1937), 태평양 전쟁(1941)을 일으켰다.
이에 일제는 조선인에 대한 인적, 물적 수탈을 정당화하고 한반도를 대륙 침략의 병참 기지로 운용하기 위해 민족 말살 통치를 실시함.
1. 민족 말살 정책 - 황국 신민화 정책
민족 정신 말살: 내선일체, 일선동조론(일본인과 조선의 조상은 동일) 선전, 신사 참배, 황국 신민 서사 암송, 궁성 요배 강요.
민족 문화 말살: 제 3차 조선 교육령을 발표하여 조선어를 선택 과목으로 지정
민족 근원 말살: 창씨개명(1939) 강요, 조선어, 조선사 교육 금지
2. 신문 폐간(1940):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우리말 신문 폐간
3. 국민 총력 운동
4.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 제정(1936)
5.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제정(1941)
2) 1930~1940년대 일본의 경제 수탈
1. 농촌 진흥 운동
소작 쟁의가 심화되고, 사회주의 세력이 농촌으로 확산되면서 일제의 위기 의식이 고조됨
조선 소작 조정령(1931), 조선 농지령(1934)를 제정하여 농민의 불만을 무마하고자 함>반발을 무마하고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회유책
2. 남면북양 정책: 공업 원료 수탈을 목적으로 남부 지방에는 면화 제배, 북부 지방에는 양 사육을 강요
3. 식민지 공업화 정책: 군수 물자를 생산하기 위해 한반도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군수 산업 육성
4. 병참 기지화 정책: 중일 전쟁(1937) 이후 본격화, 국가 총동원법 제정(1938)하여 물적, 인적 자원 수탈 강화
물적 수탈
산미 증식 계획 재개, 미곡 공출제 실시, 식량 배급제 실시
인적 수탈
학도 지원병제(1943), 징병제(1944)
여성 인력 동원: 여자 정신 근로령(1944) 제정하여 조선 여자들을 위안부로 삼음
3. 의열단과 한인 애국단
1) 의열단(1919)
김원봉, 윤세주 등이 중심이 되어 만주 길림(지린성)에서 의열단을 조직하여 의열 투쟁 전개
1.활동: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음
2. 의거 활동
김익상: 조선 총독부에 폭탄 투척(1921)
김상옥: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1923)
나석주: 동양 척식 주식회사와 식산 은행에 폭탄 투척(1926)
3. 활동 방향의 전환
방법 전환: 개별 투쟁의 한계 인식, 중국 혁명 세력과 연대
군사 훈련: 황포 군관 학교(중국 군관학교)에 입교(1926),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 아래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1932)
민족 혁명당 결성(1935):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통합된 민족 혁명당 결성
2) 한인 애국단(1931)
김구를 중심으로 상하이에서 침체된 임시 정부와 독립운동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한인 애국단 결성(1931)
1. 이봉창의 의거
이봉창 열사가 도쿄에서 일왕 히로히토의 마차에 폭탄을 투척하나 실패함(1932).
일제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에서 상하이 사변을 일으킴
의의: 침체에 빠진 임시 정부에 활기를 불러 일으켰다.
2. 윤봉길의 의거
일본이 상하이 흥커우 공원에서 개최한 일왕 탄생 축하겸 전승 축하식에서 윤봉길이 단상을 향해 폭탄을 던져 일본군 장성과 고관들을 처단(1932)함.
영향: 이 의거로 일제의 탄압이 강화되어 임시정부가 상하이를 떠나게 되었지만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을 지원하는 계기가 됨.
3) 개별 의거 활동
강우규: 노인 동맹단 소속으로, 조선 총독부 사이토 총복에게 폭탄을 투척함.
4. 1930년 이후의 무장 투쟁 운동
1) 1930년대의 무장 투쟁
한국 독립군(지청천): 북만주 일대에서 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해 쌍성보, 대전자령, 사도하자 전투 등에서 대승을 거둠
조선 혁명군(양세봉): 남만주 일대에서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흥경성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함.
독북 항일 연군: 김일성 부대가 함경남도 갑산의 보천보를 습격하여 국내 진공을 시도(보천보 전투)
조선 의용대: 중국 관내(중국 한커우)에서 창설한 중국 관내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김원봉 등은 한국 광복군에 합류함
2) 1940년대의 무장 투쟁
1. 한국 광복군
지청천과 김구 등이 충칭에서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과 중국 각지에서 활동하던 청년들을 모아 한국 광복군 창설(1940)
국내 진공 작전 계획: 미국 전략 정보국(OSS)의 도움으로 특수 훈련 실시, 일제의 항복으로 실현하지 못함
2. 조선 의용군: 조선 독립 동맹 산하의 군사 조직, 중국 팔로군과 연합해 대일 항전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역사 연구
1. 일제의 역사 왜곡
조선사 편수회: 한국사를 왜곡하기 위해 조직, 식민사관을 토대로 조선사 편찬
2. 국학자들의 한국사 연구
민족주의 사학
박은식: 민족의 혼 강조, 임시 정부의 제2대 대통령 역임,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신채호: 화랑 정신인 '낭가 사상' 강조, 고대사 연구에 주력, <독사신론>, <조선혁명선언> 저술
그외 신채호는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 묘청의 난을 '조선 역사상 일천 년 이래 제일 대사건'이라 평가함
조선학 운동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이 <여유당전서>를 간행한 것이 계기
정인보: 얼을 민족 정신으로 강조, <5천 년간 조선의 얼>
문일평: '조선심'을 민족 정신으로 강조
3. 사회 경제 사학
유물사관에 입각해 한국사를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하고자 함, 식민 사학의 정체성론을 비판
백남운: <조선사회경사>
4. 실증 사학
역사적 사실을 실증적,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연구함
이병도 등이 진단학회 조직, <진단학보>를 발행
5. 민족주의 사학
ㅅ실증적 토대 위에 민족주의 사학과 사회, 경제 사학의 방법을 수용
2) 국어 연구
1. 조선어 연구회
강습회 강연회 등을 통해 한글 보급 운동을 전개, 한글 기념일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 간행
2. 조선어 학회
한글 교재 편찬,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 <우리말큰사전> 편찬 시도, 실패
탄압: 조선어 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간주해 회원들을 체포, 투옥하는 조선어 학회 사건(1942)발생 이후 학회는 해체됨
6. 일제 강점기의 문화 활동
1) 종교 단체들의 활동
개신교: 1930년대에 신사 참배 거부 운동을 전개해 많은 신자들과 지도자가 투옥됨
천주교: 경향신문과 잡지 <경향>을 발간, 만주에서 항일 무장 단체 의민단 조직
천도교: 소년, 여성 운동 전개(천도교 소년회), 잡지 <개벽>, <어린이>, <신여성> 간행
대종교: 무장 투쟁 전개(중광단 조직)
불교: 한용운을 중심으로 조선 불교 유신회를 조직해 항일 운동 전개
원불교: 박중빈이 창도한 민족 종교, 새 생활 운동 전개
2) 교육 활동
1920~1930년대: 민중들의 문맹 퇴치를 위해 언론 기관이 문자 보급 운동(조선일보), 브나로드 운동(동아일보) 등 전개
3) 문예 활동
1. 문학 활동
1920년대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아 신경향파 문학 등장, 신경학파 작가들이 KAPF(카프) 결성
1930년대 이후
저항 문학: 이육사, 윤동주 등 전문적인 문인 외에도 독립운동가들이 작품 활동을 통해 민족의식과 독립 사상을 고취시키고자 함
대표작: 심훈<그날이 오면>, 이육사<광야>, <절정>, 윤동주 <서시>
2. 예술 활동
연극: 토월회 등이 조직 되어 근대 연극을 공연
영화: 나운규는 영화 아리랑(1926)을 제작해 식민 치하 민족의 현실 표현
4) 언론 활동
1. 1910년대(무단 통치 시기): 총독부 기간지인 매일신보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 폐간
2. 1920년대(문화 통치 시기): 조선, 동아일보 등 일간지와 일부 잡지의 발행 허용> 검열, 삭제, 정간 등으로 통제 강화
3. 1930년대 이후(민족 말살 통치 시기): 일장기 삭제 사건(1936, 손기정 선수)를 빌미로 탄압, 1940년대는 조선, 동아일보를 강제로 폐간함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7.현대 (0) | 2023.02.10 |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6.일제 강점기(1) (0) | 2023.02.10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5.근대(2) (0) | 2023.02.10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5.근대(1) (0) | 2023.02.09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심화 - 4.조선 시대(3) (0) | 2023.02.09 |